설날 하면 생각나는 음식들이 정말 많은데요. 다들 명절이라서 맛있는 음식들을 먹을 때는 정말 좋지만 설날이 끝나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갔을 때 체중계에 올라가는 게 무서울 정도로 후회되는 건 저뿐만 아니라 모두 같은 마음일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지금은 먹고 싶은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쉽게 주문해서 마음 것 먹을 수 있는 시대지만 예전엔 먹고 살기 힘든 시절 일 년에 두 번 있는 명절 이때 아니면 언제 배불리 먹을 수 있을까 해서 음식도 기름지고 살찌는 걸로 장만하고 명절만큼은 그렇게 배불렸던 것 같은데요.
그래서인지 병원에서는 명절에 비만과 대사질환 위험을 유발하는 고칼로리 음식 섭취를 조심하라고 당부하기도 했습니다.
그럼 가장 체중을 늘려주는 음식은 무엇일까요? 같이 한번 볼까요?
설 연휴 가장 살찌는 음식 TOP 10
▶ 10위 : 3색 나물
100g당 약 142㎉인 3색 나물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어
▶ 9위 : 떡만둣국
100g 기준 약 210㎉라고 합니다. 설날에 하루 3번을 먹는 떡국인데요. ^^;
▶ 8위 : 돼지갈비찜
100g 기준 약 250㎉인데요. 상위권에 있을 것 같았는데 8위라니 도대체 어떤 음식들이 상위권일까요?
▶ 7위 : 불고기
100g 기준 약 270㎉로 나타났습니다. 상위권일 것이라고 생각했던 음식들이 하위권이라니 더욱 궁금하네요.
6위부터는 이제 100g당 300㎉가 넘어가는 음식인데요. 이젠 설날 메뉴가 바뀌어야하는 것일까요?;;
▶ 6위 : 동그랑땡
100g 기준 약 309㎉가 넘어가네요.
▶ 5위 : 잡채
100g 기준 약 310㎉
▶ 4위 : 꼬치전
100g 기준 약 320㎉
▶ 3위 : 소갈비찜
100g 기준 약 340㎉
▶ 2위 : 떡갈비
100g 기준 약 350㎉로 아이들에게 자주 주었던 반찬인데 이제 적당히 줘야겠다고 생각이 드네요.
▶ 1위는 바로?? 생각지도 못했던 '약과’가 꼽혔습니다.;;
100g(2~3개) 기준 약 420㎉의 무시무시한 녀석이네요.
지금까지 설날 살찌는 음식 TOP 10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밤시간에 군침이 도는 맛있는 음식 사진을 보니 야식이 생각나네요.
야식 생각은 잠시 접고, 이렇듯 병원 영양팀 측에서는 “설날 음식들은 맛있지만 대부분 고칼로리”라며 “특히 전과 갈비찜 등은 기름과 당분이 많아 칼로리가 폭발한다”고 설명했다고 합니다. 뭐니 뭐니 해도 건강이 최고 아니겠어요? 그럼 조금이라도 건강하게 명절 음식 먹는 방법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알아보겠습니다.
명절 음식 조금이라도 건강하게 먹기!
▶ 명절 음식 조금이라도 건강하게 먹는 방법
● 각종 전류는 기름과 프라이팬을 사용하기보다는 에어프라이어를 활용하기(조금의 기름이라도 빼자!!)
● 갈비찜류는 설탕 사용을 줄이고 채소나 과일 활용하기(마음적으로 야채가 보이면 안심!!)
● 떡만둣국은 떡과 만두를 조금 줄이고 버섯, 애호박 등을 추가하기(집에 보이는 안 먹고 자리차지하는 야채 이때라도 다 넣자!!)
● 식사 시 나물 같은 채소 위주로 먼저 먹기(방송에도 나온 효과적인 방법!! 채소 먼저 그다음 단백질 마지막으로 탄수화물을 먹으면 정말 도움이 된답니다!!)
● 개인 접시에 덜어 먹고 천천히 꼭꼭 씹어먹기(기름지고, 과식하고, 위과 놀라 자빠지겠지만 꼭꼭 씹어서 먹으면 그래도 위를 도와주는 일!!)
● 설날 동안이나 이후 가벼운 운동을 통해 쌓인 칼로리를 소모하고, 저염식과 채소 위주 식단으로 몸을 회복시키기(신기하게 명절은 어른들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밥시간에 내가 아무리 배가 불러도 차려진다는 사실!! 어른들 때문에 안 먹을 수도 없고 배불러도 차려진 정성에 다 먹게 되는 건 나만 그런가?)
이렇게 설날 음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모두 행복한 명절, 건강한 명절, 화목한 명절들 보내시고, 건강하세요.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설맞이 전통시장 60곳 최대 30% 할인 및 행사 정보 (0) | 2025.01.27 |
---|---|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기간과 귀성길 귀경길 정체 심한 날은? (0) | 2025.01.26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손택스 및 월세 공제 최대 얼마까지? (0) | 2025.01.23 |
명절 차량 무상 점검 서비스는 언제?(현대, 기아, 쉐보레, 르노, KGM) (0) | 2025.01.22 |
설맞이 온누리상품권 15%할인받는 방법(언제 어디서 어떻게?) (0) | 2025.01.09 |